후보 쟁탈전…시간은 '김문수 편'
한덕수, 11일까지 단일화 불발 시 불출마 선언
최소 수백억 선거비용, 무소속 후보 혼자 감당
2025-05-08 17:39:58 2025-05-08 19:53:17
 
[뉴스토마토 이효진 기자]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가 오는 11일을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단일화 최종 기일로 못 박았습니다. 그 이면에는 정치적 명분보다 '돈'이 있습니다. 정당 소속 후보는 선거비용을 당이 감당하지만, 무소속 후보가 되면 모든 비용을 혼자 짊어져야 하는데요. 최소 수십억이 드는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서 완주는 어려운 일입니다. 단일화 시한이 다가옴에 따라 시간은 김 후보 편인 상황입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선거 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가 8일 단일화를 놓고 담판을 벌였다.(사진=뉴시스)
 
 
본선 오르자 '김문수 버티기'…이면에 '쩐의 전쟁'
 
김 후보가 8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강제적 후보 교체이자 저 김문수를 끌어내리려는 작업"이라고 목소리 높였습니다. 앞서 8~9일 이틀간 단일화 여론조사를 하는 '강제 단일화' 로드맵을 의결한 국민의힘 지도부에 반발한 것입니다.
 
김 후보는 경선 과정서 한 후보와 단일화에 긍정적인 입장이었는데요. 윤심(윤석열 의중)을 업은 한 후보와의 단일화 가능성이 높아지며 친윤(친윤석열)계 당 중진 의원들과 강성 보수층의 지지를 얻었습니다. 덕분에 김 후보가 경선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막상 본선 무대에 오르자 김 후보는 버티기에 들어갔습니다. 단일화를 노리며 대선에 출마한 한 후보는 '11일까지 단일화 불발 시 불출마'라는 강수까지 뒀습니다.
 
한 후보는 지난 7일 입장문을 내고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대선 본후보 등록을 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대선 후보 등록일을 단일화 최종 기일로 정하고 배수의 진을 친 것입니다.
 
그 이면에는 '쩐의 전쟁'이 있습니다. 정당에 속한 후보는 당이 선거 비용을 댑니다. 지난 2022년 20대 대선 때 민주당은 선거 비용 지출액으로 487억5300만원을 지출했습니다. 국민의힘도 424억6700만원을 썼습니다.
 
이어 국민의당 약 70억8500만원, 정의당 약 32억3600만원, 진보당 약 13억4000만원, 기본소득당 7억2000만원 순입니다. 소수 정당도 최소 10억원에 달하는 비용을 선거에 쏟아 붓는 것입니다. 공직선거법 제121조에 따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공고한 이번 21대 대선 선거비용 제한액은 588억5281만원입니다.
 
11일까지 단일화 실패 땐…한덕수, 오롯이 '자비 부담'
 
하지만 무소속 후보는 모든 비용을 혼자 감당해야 합니다. 만약 한 후보가 대선 후보 등록일인 11일까지 무소속 후보로 등록할 경우 기탁금 3억원을 내야 합니다. 
 
가장 많이 돈이 드는 건 사무소 대여비입니다. 당에서 선거운동을 할 경우 지역별로 당협 사무소를 선거 캠프로 이용할 수 있는데요. 무소속 후보는 전국 단위 선거운동을 위해서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별로 사무소를 빌려야 하는 실정입니다.
 
인건비도 만만치 않습니다. 선거 운동원은 수당과 실비를 포함해 하루 인건비가 10만원입니다. 사무장과 회계책임자의 경우 14만원(수당 10만원·실비 4만원)에 달합니다. 이 외에 현수막, 유세용 차량 대여, 약 2500세대에 필수로 배포해야 하는 선거 공보물 등 홍보를 위해 나가는 비용도 상당합니다.
 
물론 재력이 없는 사람을 위해 국가에서 선거비용을 보전해주는 제도가 있습니다. 공직선거법 제122조의2에 따르면 대통령 선거는 후보가 당선되거나 사망한 경우 또는 유효투표 총수의 15% 이상을 득표한 경우 후보가 지출한 선거비용 전액을 보전받을 수 있습니다. 득표수가 유효투표 총수의 10% 이상~15% 미만인 경우 후보가 지출한 선거비용의 절반에 해당하는 금액을 받습니다. 단, 10% 미만인 경우 단 한 푼의 선거비용도 받지 못합니다.
 
정당은 득표수가 부족해도 선거보조금과 당 후원회, 특별 당비 모금 등으로 없이도 상당 부분을 충당할 수 있는데요. 무소속 후보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약 29억원에 달하는 후원금 법정 한도액 외의 비용은 자비를 들여야 하는 것입니다.
 
선거 기획 업계 관계자는 "대여료와 인건비 부담이 제일 크고 그 외에도 나가는 비용이 많다. 대선의 경우 수백억은 기본"이라며 "정당 후보의 경우 득표율만 높으면 후보가 감당해야 할 금액이 사실상 없지만 무소속 후보는 그렇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이효진 기자 dawnj789@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