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혜정 기자] SK㈜는 SK머티리얼즈 산하 자회사 4곳을 SK에코플랜트로 이관하고, SK C&C의 데이터센터를 SK브로드밴드에 매각하는 등 사업 포트폴리오 재정비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중복된 비효율 사업을 정리하고, 반도체 소재와 인공지능(AI) 인프라 등 미래 유망 분야에 역량을 집중해 기업가치를 높이겠다는 전략입니다.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 전경. (사진=SK그룹)
13일 SK㈜는 전날(12일) 이사회를 열고, SK머티리얼즈의 반도체 소재 계열사 4곳을 SK에코플랜트 자회사로 편입하는 안건과 SK C&C가 보유한 30메가와트(㎿) 규모의 판교 데이터센터를 약 5000억원에 SK브로드밴드에 매각하는 안건을 각각 의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결정은 사내 독립기업(CIC)인 SK머티리얼즈와 SK C&C가 운영하던 반도체 소재 및 AI 인프라 사업을 각각 SK에코플랜트와 SK브로드밴드로 통합함으로써, 미래 주력 분야 간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지분 가치를 높이기 위한 포석입니다.
이에 따라 SK㈜는 SK머티리얼즈 산하 자회사인 SK트리켐(지분율 65%), SK레조낙(51%), SK머티리얼즈제이엔씨(51%)의 지분을 SK에코플랜트에 현물 출자합니다.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에 대해서는 SK에코플랜트와 포괄적 주식교환을 진행합니다.
리밸런싱 후 구조도. (이미지=SK그룹)
SK에코플랜트는 지난해 반도체 사업을 영위하는 에센코어와 SK에어플러스를 자회사로 편입한 데 이어, 이번에 SK머티리얼즈의 반도체 소재 계열사 4곳을 추가로 품게 됐습니다.
SK㈜는 SK에코플랜트가 반도체 분야의 ·조달·시공(EPC) 및 리사이클링 사업에 더해 소재 분야까지 확장함으로써, 반도체 종합 솔루션 기업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SK브로드밴드는 SK C&C의 판교 데이터센터 인수를 통해 가산, 서초, 일산 등 총 9개 데이터센터를 확보하게 됩니다.
이를 바탕으로 SK브로드밴드는 디지털 경제 시대를 선도하고, AI·클라우드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면서 디지털 인프라 분야의 핵심 사업자로 자리매김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규모의 경제 실현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도 강화해 나갈 방침입니다.
SK㈜ 관계자는 "자회사들의 성과가 지주사 가치에 직결되는 만큼 중복 사업은 과감하게 통합하고 시너지를 도출하는 등 자회사 지분 가치를 끌어올려 지주사의 기업가치를 높이고자 한다"며 "앞으로도 자회사 성장을 주도하고 재무건전성을 강화하는 등 기업가치를 끌어올리기 위한 지주사 본연의 역할을 적극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SK그룹은 작년부터 △AI, 반도체 중심의 사업구조 최적화 △에너지솔루션 분야 내실 경영을 통한 질적 성장 △성장사업 간 시너지 극대화 등 미래 성장 기반 강화를 목표로 리밸런싱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박혜정 기자 sunright@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