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증시전망) 3차 상법 개정안 기대감↑…"엔비디아 실적, AI 향방 가를 것"
세제개편안·자사주 소각 의무화 법안에 지주사·금융·배당주 '주목'
FOMC 회의록서 통화정책 가늠…AI 투심 후퇴 속 모멘텀 분기점
2025-11-16 06:00:00 2025-11-16 06:00:00
[뉴스토마토 이보라 기자] 이번 주(11월17~21일) 국내 증시는 세제 개편 본격화와 코스피 5000특별 위원회의 3차 상법 개정안 발의 등 정책 기대감에 주목할 것으로 보입니다. 19일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가 예정되어 있어 향후 인공지능(AI) 모멘텀 회복의 분기점이 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옵니다. 
 
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주(11월10~14일) 코스피는 1.46% 상승에 그쳤습니다. 13일까지만 해도 AI 버블에 대한 우려가 부각되며 상승장을 주도했던 반도체 업종에 대한 조정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해소 기대감이에 지수가 전반적으로 상승했으며, 증권업종의 상승세가 두드러졌습니다. 하지만 주 후반인 14일 AI 밸류 부담이 겹치면서 코스피가 3.5%대로 급락하면서 4011.57에 마감했습니다. 아울러 지난주에는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이 역대 최장기간인 43일 만인, 12일 종료됐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국내 장기투자에 대한 세계 혜택 확대를 지시하면서 정부의 주식시장 활성화 의지를 재확인한 한 주였습니다.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이 역대 최장기간인 43일 만인, 12일 종료됐다. (사진=AP/뉴시스)
 
증권가는 이번 주 코스피 밴드를 3900~4250포인트 선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유동성 확대와 자사주 소각을 포함한 3차 상법 개정안, 그리고 코스닥 활성화 정책을 상승 요인으로 꼽고 있습니다. 금리 인하 기대감 축소와 AI 버블 논란, 고환율로 인한 외국인 순매도 등으로 증시가 하락할 가능성이 점쳐지지만 반도체 섹터를 중심으로 한 반등세가 낙폭을 제한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됩니다. 나정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자본시장 개선 흐름은 벤처 및 중소기업 투자 활성화로도 이어지며, 국민 성장펀드를 통한 국가 첨단산업 분야(AI·바이오) 벤처 및 중소형 기업 자금 유입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평가했습니다. 
 
오는 19일에는 엔비디아를 비롯해 소니(14일), 홈디포(18일), 월마트(20일) 등의 실적 발표가 예정돼 있습니다. 일본 반도체 기업 키옥시아가 시장 예상치를 밑도는 실적으로 지수 하락을 초래하며 AI투심 위축을 불러왔습니다. 이에 따라 오는 19일 엔비디아 실적 발표가 AI 모멘텀 회복의 분기점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블랙웰 등 AI 칩에 대한 전방 수요 진단과 AI 응용, 수익화 경로, 향후 실적의 가이던스 등이 최근 AI 버블 논란과 시장 조정의 향방을 판가름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아울러 20일 발표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에서 파월 의장의 발언과 12월 금리 인하에 대한 내부 의견 격차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주 국내에서는 국정감사를 마친 국회가 배당소득 분리과세의 최고세율(25%) 조율 및 3차 상법 개정안 논의에 착수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증권사 종합투자계좌(IMA)인가 등 정부 정책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 정책 기대감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입니다. 더불어민주당 코스피 5000 특별위원회가 이번 주 1년 이내 자사주를 의무소각하는 방향의 법안을 논의할 것으로 전해집니다. 
 
SK와 CJ 등의 지주사의 실적 발표도 예정되어 있어, 지주사를 중심으로 금융주와 배당 업종은 연말까지 정책 기대감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강진혁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금융주가 흔들리는 코스피의 버팀목이 돼줄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면서 "부동산 쏠림을 억제하고 생산적  자금 공급을 촉진하는 머니무브가 일어나는 가운데 은행의 생산적 자금 공급 기능과 더불어 은행 자체의 주주환원 정책이 주목된다"고 진단했습니다. 이경민 연구원은 "이차전지와 제약·바이오 업종 또한 장기간 소외됐지만, 시장의 주목을 받기 시작해, 과열 해소 이후에는 기존 주도주이자 실적 모멘텀이 견조한 반도체, 조선, 방산 업종의 비중 확대가 가능하다"고 평가했습니다. 
 
이보라 기자 bora11@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고재인 자본시장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