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에너지 차관실, 산업부 잔류는 없다"
"기후에너지부 신설안 등 2가지…대통령실 협의 중"
"2050 넷제로도 느슨…환경부부터 탈탄소 실천해야"
2025-07-22 18:59:16 2025-07-22 18:59:16
[뉴스토마토 유지웅 기자] 김성환 신임 환경부 장관이 22일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정책 기능을 환경부로 이관하는 정부조직 개편안과 관련해 "에너지 차관실이 산업부에 잔류하는 안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김성환 신임 환경부 장관이 22일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기자실에서 출입기자단과 첫 간담회를 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 기자간담회에서 "국정기획위원회가 정리한 안은 두 가지"라며 "산업부의 2차관실(에너지 차관실)을 환경부에 통합해 '기후환경에너지부'로 확대 개편하는 방안, 환경부의 기후정책실과 에너지차관실을 합쳐서 별도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안"이라고 했습니다.
 
이어 "세 번째 안은 없었으며, 대통령실은 현재 1안과 2안을 협의 중"이라며 "산업부가 현재대로 유지되는 방안은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최근 김정관 산업부 장관이 에너지 기능 이관에 반대 입장을 밝힌 데 대해서는 "신임 장관으로서 내부 정서를 고려해 그런 표현을 했다고 이해한다"고 말했습니다.
 
김 장관은 대통령 공약과 국정기획위 보고를 근거로 "정부조직법 개정에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정부 방침은 조속히 확정해 달라고 요청할 계획"이라며 이른 시일 내 불확실성을 해소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기후위기 대응과 관련해서는 "이대로 가면 인류가 멸종한다"며 "지구 평균기온이 3도를 넘으면 문명이 무너진다는 게 과학의 경고"라고 했습니다. 
 
이어 "2050년 넷제로 목표도 너무 느슨하다"고 지적하며, 환경부 내부부터 절박하게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환경부 공무원들도 전기차 보급 주무부처면서, 내연차 소유 비율이 국민 평균을 넘지 못한다"며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탈탄소를 실현해야 한다"고 일침을 놓기도 했습니다.
 
환경부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해서도 방향성도 제시했습니다. 그는 "내연차를 고수하면 공장 문도 닫고 실업자도 늘어날 것"이라며 "탄소 시대 산업에 머무를 경우 기업 존속 자체가 위험해질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이어 "탈탄소 정책은 규제가 아니라, 전기차와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문명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안내하는 일"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유지웅 기자 wisema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